한어(漢語) 계통의 수사(數詞)를 가리키는 말로, 한국에서는 一(일), 壹(일), 二(이), 貳(이), 三(삼), 參(삼), 四(사), 五(오), 伍(오), 六(육), 七(칠), 八(팔), 九(구), 十(십), 拾(십), 百(백), 佰(백), 千(천), 仟(천), 阡(천), 萬(만), 万(만), 億(억), 兆(조) 등이 주로 쓰인다.
이밖에 京(경:1016), 垓(해:1020), 秭(자:1024), 穰(양:1028), 溝(구:1032), 澗(간:1036), 正(정:1040), 載(재:1044), 極(극:1048), 恒河沙(항하사:1052), 阿僧祇(아승기:1056), 那由他(나유타:1060), 不可思議(불가사의:1064), 無量大數(무량대수:1068)가 있다. 항하사(恒河沙)·아승기(阿僧祇)·나유타(那由他)·불가사의(不可思議)·무량대수(無量大數)는 각각 1056, 1064, 1072, 1080, 1088으로 보는 설도 있다.
소수(小數)의 단위는 한국에서는 10분의 1(10-1)은 할(割), 100분의 1(10-2)은 푼(分), 1000분의 1(10-3)은 리(厘), 10000분의 1(10-4)은 모(毛)로 표기하지만, 중국에서는 각각 分(푼:10-1), 厘(리:10-2), 毛(모:10-3), 絲(사:10-4)로 표기한다. 소수점 5자리 이하로는 忽(홀:10-5), 微(미:10-6), 纖(섬:10-7), 沙(사:10-8), 塵(진:10-9), 埃(애:10-10), 渺(묘:10-11), 漠(막:10-12), 模糊(모호:10-13), 逡巡(준순:10-14), 須臾(수유:10-15), 瞬息(순식:10-16), 彈指(탄지:10-17), 刹那(찰나:10-18), 六德